[주식초보] - PSR 이란 무엇인가??
주식을 시작하면서 조금씩 공부를 하며 일지처럼 작성하는 내용입니다.
안녕하세뇨 주린이 제임스 입니다
저는 주식하면서 용어들이 너무나 헷갈려서
조금더 쉽게 이해할수있도록 작성을 하고자 합니다
여러 고수분들 보시면, 귀엽게 읽어주세요
📌 PSR이란?
PSR은 (Price to Sales Ratio)의 줄임말인데,
주가를 회사의 매출(얼마나 물건을 팔았는지)과 비교하는 지표야.
공식:
🧮 PSR = 시가총액 ÷ 연 매출액
또는
🧮 PSR = 주가 ÷ 주당 매출액 (SPS, Sales Per Share)
(SPS는 "한 주당 매출이 얼마인지"를 뜻해!)
📌 초등학생도 쉽게 이해하는 PSR 예시! 🍕
🍕 피자가게 2곳이 있어!
- A 가게: 1년에 100만 원어치 피자를 팔아!
- B 가게: 1년에 200만 원어치 피자를 팔아!
그런데 A 가게의 주식 가격은 500만 원, B 가게의 주식 가격은 600만 원이야!
🔢 A 가게의 PSR: 500만 원 ÷ 100만 원 = 5배
🔢 B 가게의 PSR: 600만 원 ÷ 200만 원 = 3배
💡 PSR이 낮을수록 "이 회사가 버는 돈(매출)에 비해 주가가 싸다"는 뜻이야!
📌 PSR이 높으면? 낮으면?
✔️ PSR이 높다 (ex. 5배, 10배!)
→ 사람들이 "이 회사가 미래에 더 크게 성장할 것"이라고 생각해서 주식을 비싸게 사는 거야! 🚀
(예: 스타트업, IT 기업처럼 성장성이 높은 회사!)
✔️ PSR이 낮다 (ex. 0.5배, 1배!)
→ 회사가 파는 물건(매출)에 비해 주가가 싸다는 뜻이야! 저평가된 주식일 수도 있어!
(예: 전통적인 제조업, 안정적인 회사!)
📌 PSR로 주식 투자할 때 주의할 점! ⚠️
1️⃣ PSR이 낮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니야!
- 매출은 많지만 이익이 거의 없는 회사일 수도 있어! (ex. 적자 기업)
2️⃣ PSR이 높아도 미래 성장성이 크다면 괜찮을 수도 있어!
- 스타트업이나 IT 기업은 매출은 적지만 미래 가치가 커서 비싸게 거래될 수도 있어!
3️⃣ 같은 업종끼리 비교해야 해!
- 피자가게랑 병원을 비교하면 안 돼! 같은 종류의 회사끼리 비교해야 정확해!
📌 결론!
✔ PSR은 "이 회사가 버는 돈(매출)과 비교했을 때 주가가 비싼지, 싼지"를 알려주는 숫자야!
✔ 낮다고 무조건 좋은 것도 아니고, 높다고 무조건 나쁜 것도 아님!
✔ 같은 업종끼리 비교해야 더 정확함!
💡 초등학생 문제 풀어보기!
👦🏻 철수가 100만 원어치 물건을 파는 회사를 주식 가격 500만 원에 샀어!
👧🏻 영희는 200만 원어치 물건을 파는 회사를 주식 가격 600만 원에 샀어!
📌 철수와 영희 중 누가 더 싼 회사 주식을 샀을까? 🤔
(힌트: PSR을 계산해 보면 알 수 있어!)
PSR을 계산해볼게요! 🧮
👦🏻 철수의 PSR
= 500만 원 ÷ 100만 원
= 5배
👧🏻 영희의 PSR
= 600만 원 ÷ 200만 원
= 3배
✔ 정답: 영희가 더 싼 회사 주식을 샀어! 🎉
PSR이 낮을수록 "회사의 매출에 비해 주가가 저렴하다"는 뜻이니까,
영희의 PSR(3배)이 철수의 PSR(5배)보다 낮아서 더 저렴해!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