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초보] - PBR 이란 무엇인가??
주식을 시작하면서 조금씩 공부를 하며 일지처럼 작성하는 내용입니다.
안녕하세뇨 주린이 제임스 입니다
저는 주식하면서 용어들이 너무나 헷갈려서
조금더 쉽게 이해할수있도록 작성을 하고자 합니다
여러 고수분들 보시면, 귀엽게 읽어주세요
📌 PBR이란?
PBR은 (Price to Book Ratio)의 줄임말인데,
주가를 회사가 가진 돈(자산)과 비교해서 이 주식이 적당한지 판단하는 지표야.
공식:
🧮 PBR = 주가 ÷ 주당 순자산 (BPS, Book Value per Share)
(BPS는 "한 주당 얼마만큼의 회사 자산이 있는지"를 뜻해!)
📌 초등학생도 쉽게 이해하는 PBR 예시! 🍔
🍔 햄버거 가게 2곳이 있어!
- A 가게: 1억 원짜리 가게를 가지고 있어!
- B 가게: 2억 원짜리 가게를 가지고 있어!
근데 A 가게의 주식 가격은 2억 원, B 가게의 주식 가격은 2억 원이야!
🔢 A 가게의 PBR: 2억 원 ÷ 1억 원 = 2배
🔢 B 가게의 PBR: 2억 원 ÷ 2억 원 = 1배
💡 PBR이 낮을수록 주식이 싸고, 높을수록 비싸다는 뜻이야!
📌 PBR이 높으면? 낮으면?
✔️ PBR이 1보다 크다 (ex. 2배, 3배!)
→ 사람들이 "이 회사가 앞으로 더 가치가 오를 것"이라고 생각해서 주식을 비싸게 사는 거야! 🚀
(예: 삼성전자, 애플 같은 인기 있는 회사!)
✔️ PBR이 1보다 작다 (ex. 0.5배, 0.8배!)
→ 회사가 가진 재산보다 주가가 싸다는 뜻이야! 헐값에 팔리고 있을 수도 있어!
(예: 사람들이 관심이 없는 회사이거나, 회사가 돈을 잘 못 벌고 있을 수도 있어!)
📌 PBR로 주식 투자할 때 주의할 점! ⚠️
1️⃣ PBR이 1보다 낮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니야!
- 회사가 망해가고 있어서 싼 걸 수도 있어! 😨
2️⃣ PBR이 너무 높으면 주식이 너무 비쌀 수도 있어!
- 사람들이 너무 기대해서 가격이 거품일 수도 있어! 💥
3️⃣ 같은 업종끼리 비교해야 해!
- 피자 가게랑 은행을 비교하면 안 돼! 같은 종류의 회사끼리 비교해야 정확해!
📌 결론!
✔ PBR은 "이 주식이 회사의 재산(자산)과 비교했을 때 비싼지, 싼지"를 알려주는 숫자야!
✔ 낮다고 무조건 좋은 것도 아니고, 높다고 무조건 나쁜 것도 아님!
✔ 같은 업종끼리 비교해야 더 정확함!
💡 초등학생 문제 풀어보기!
👦🏻 철수가 1억 원짜리 회사를 주식 가격 1.5억 원에 샀어!
👧🏻 영희는 2억 원짜리 회사를 주식 가격 1.8억 원에 샀어!
📌 철수와 영희 중 누가 더 싼 회사 주식을 샀을까? 🤔
(힌트: PBR을 계산해 보면 알 수 있어!)
PBR을 계산해볼게요! 🧮
👦🏻 철수의 PBR
= 1.5억 원 ÷ 1억 원
= 1.5배
👧🏻 영희의 PBR
= 1.8억 원 ÷ 2억 원
= 0.9배
✔ 정답: 영희가 더 싼 회사 주식을 샀어! 🎉
PBR이 낮을수록 "회사의 자산에 비해 주가가 저렴하다"는 뜻이니까,
영희의 PBR(0.9배)이 철수의 PBR(1.5배)보다 낮아서 더 저렴해! 🚀
감사합니다